김정원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음악FM 매일 09:00-11:00 (재) 매일 02:00-04:00
5/9(수) 이준형의 보물상자: 음악계 소식
아름다운당신에게
2012.05.09
조회 433
<1부>

1. Happy Heart
- Andy Willams

2. Beethoven / Bagatelle in A minor "Fuer Elise (엘리제를 위하여)"
- 알프레드 브렌델 (피아노)

3. 모차르트 / 플롯과 하프를 위한 협주곡 C장조 2악장 - 안단티노
- 제임스 골웨이(플룻), 프리츠 헬미스 (하프). 카라얀(지휘),
베를린 필 하모닉

4. John Philip Sousa/ Black horse troop
- Los Angeles Guitar Quartet (3:11)

========================================================
이야기 하나, 그리고 음악

플라톤(Platon)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크고 중요한 승리는
자기 자신을 정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부끄럽고 창피한 일은
자신의 사리사욕에 정복당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
자제는 모든 미덕의 근본이다.
만약 자제력을 잃고 충동적으로 과격하게 행동한다면
그것은 바로 도덕적 자유를 포기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성격이 급해 쉽게 화를 내는 사람은 오랫동안 노력해 얻은 성과를
한순간에 수포로 만들어 놓을 수 있다.
공든 탑이 개미구멍 하나 때문에 무너지는 셈이다.
순간적으로 내뱉은 화풀이가
끊이지 않는 풍파를 일으킬 수도 있다.
한마디의 말이 화근이 되어...
참았던 분노가 폭발할 수도 있다.

자제력이 있는 사람은 감정에 좌지우지되지 않는다.
또한 자기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은
잃는 것도 적고,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어
쉽게 의기소침해지지 않는다.

많은 사람이 성질이 급하다는 것을 핑계로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용서한다.
그러나 자신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은 자신의 성격도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그들은 악한 일에 힘을 쏟지 않고
선한 일에 열정을 불태운다.

자제력은 그 자체로 막강한 힘이 된다.
왜냐하면 자제력은 사람을 더욱 현명하고 조화롭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결국 자제력은 증기 기관차의 에너지처럼
우리를 앞으로 끌고 나아가 일의 능률을 올려주는 힘이 된다.

- 오리슨 마든의 <철학의 즐거움>에서 ‘자게’ 발췌
-------------------------------------------------------------
5. 샤브리에 / 에스파냐
- 볼프강 자발리쉬(지휘), 바바리안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
-------------------------------------------------------------

========================================================

6. 마스카니/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중 간주곡
- 리카르도 무티(지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 안희선님 신청곡

7. Nella fantasia
- Sarah Brightman
* 5090님 신청곡

8. 와이먼 Addison wyman/ SILVERY WAVES (은파)
- 이경숙 (피아노) (7:27)
* 5019님 신청곡

9. 아기 코끼리 걸음마
-영 팝스 오케스트라
* 다알리아님 신청곡




<2부>

1. Cachito
- Nat King Cole

======================================================
이준형의 보물상자 : 이런저런 음악계 뉴스


* 20세기 최고의 트럼펫 연주자,
모리스 앙드레(Maurice André, 1933~2012) 타계

2. 요제프 하이든 (1732~1809)
트럼펫 협주곡 E플랫장조 중 3악장 Allegro
모리스 앙드레(트럼펫), 제수 로페즈-코보(지휘),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57)

* 후원자와 음악애호가들의 도움으로
바흐 칸타타 프로젝트를 완성하게 된 가디너

3.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1685~1750)
칸타타 166번 <그대, 어디로 가는가> 중 알토 아리아 ‘행운이 웃을 때를 조심하라(Man nehme sich in Acht)’와 코랄 ‘내 끝이 얼마나 가까운지 그 누가 알리오(Wer weiß, wie nahe mir mein Ende!)’
로빈 타이슨(카운터테너), 존 엘리어트 가디너(지휘), 몬테베르디 합창단, 잉글리시 바로크 솔로이스츠
(2:55-1:13)

* 유럽 음악계의 위기...
존폐 위기에 처한 바덴바덴 & 프라이부르크 SWR 심포니 오케스트라

4. 구스타프 말러 (1860~1911)
교향곡 1번 D장조 중 2악장 Kräftig bewegt(힘차게 움지이면서)
프랑수아-사이에르 로트(지휘),
바덴바덴 & 프라이부르크 SWR 심포니 오케스트라
(7:08)

* 소프라노 엘리자베스 코넬(Elizabeth Connell, 1946~2012) 타계

5. 프란츠 슈베르트 (1797~1828)
가곡 ‘전능(Die Allmacht)’ D852
엘리자베스 코넬(소프라노), 그래험 존슨(피아노)
(4:54)

* 지휘대에서 쓰러진 쿠르트 마주르, 쾌유를 빕니다!

6. 페터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1840~1893)
교향곡 2번 C단조 op.17 중 3악장 스케르초
쿠르트 마주르(지휘), 드레스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54)

* 사건사고로 얼룩진 게르기에프와 LSO의 상하이 공연

7.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 (1891~1953)
발레 모음곡 <로미오와 줄리엣> 중 ‘파리스와의 결혼을 거절한 줄리엣’
발레리 게르기에프(지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