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1. 클로드 볼링 / 플룻과 재즈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중 '이랑데즈(Irlandaise, 아일랜드의 여인)'
- 장 피에르 랑팔(플룻), 클로드 볼링(피아노)
2. 바흐 / 비올라 다 감바 소나타 3번 G단조 중 1악장 '비바체'
- 비일란트 쿠이켄(비올라 다 감바), 쿠스타프 레온하르트(하프시코드)
3. 베버 / 클라리넷 협주곡 1번 F단조 중 3악장 '알레그레토'
- 발터 뵈이켄스(클라리넷), 제임스 콘론(지휘), 로테르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 브람스 / 자장가
- 요요 마(첼로), 캐슬린 스톳(피아노)
========================================
<이야기 하나, 그리고 음악>
'정인한'의 <커피의 위로> 에서 일부분 발췌
5. 텔레만 / 비올라 협주곡 G장조 중 1악장 '라르고'
- 스티븐 슁글스(비올라), 네빌 마리너(지휘), 아카데미 오브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
========================================
▶클래식 전곡 감상◀
6. 파가니니 / <24개의 무반주 카프리스> 중 13번 '악마의 웃음(Devil's Laugher)' B플랫장조:알레그로
- 이차크 펄만(바이올린)
7. Yolanda
- 파블로 밀라네스(노래)
8. 베토벤 / 교향곡 6번 F장조 <전원> Op.68중 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시골에 도착했을 때의 유쾌한 기분)'
-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지휘),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2부
1. 김효근 작사, 작곡 / 눈
- 최정원(소프라노)
========================================
<이준형의 보물상자 : 세상을 떠난 레나타 스코토와 아르놀드 외스트만>
2. 자코모 푸치니 (1858-1924)
<나비 부인> 중 ‘어느 갠 날(Un bel di, vedremo)’
- 레나타 스코토(소프라노), 존 바비롤리(지휘), 로마 오페라 극장 오케스트라
(4:38)
3. 주세페 베르디 (1813-1901)
<라 트라비아타> 중 ‘아, 그 사람인가... 언제나 자유롭게(E strano!... Sempre libera)’
- 레나타 스코토(소프라노), 마노 볼프-페라리(지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7:34)
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791)
<피가로의 결혼> 중 이중창 ‘저녁 산들바람은 부드럽게(Sull'aria)’
- 레나타 스코토(소프라노), 미렐라 프레니(소프라노), 레오네 마지에라(지휘), 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4:02)
5.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791)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서곡
- 아르놀드 외스트만(지휘), 드르트닝홀름 궁정 극장 오케스트라
(3:50)
6.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1756-1791)
<돈조반니(Don Giovanni)> 중 2막 ‘돈 조반니, 네가 나를 초대하였다(Don Giovanni, a cenar teco)’
- 호칸 하게고드(돈 조반니), 질 카슈마유(레포렐로), 알린 오저(돈나 안나), 델라 존스(돈나 엘비라), 니코 판 데어 멜(돈 오타비오), 바바라 보니체를리나), 크리스틴 시그문손(기사장), 아르놀드 외스트만(지휘), 드르트닝홀름 궁정 극장 오케스트라
(5:16)
7.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Christoph Willibald Gluck, 1714-1787)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중 2막 발레와 ‘에우리디체 없이 나 어쩌나(Che faro senza Euridice?)’
- 안-크리스틴 비엘(메조소프라노), 아르놀드 외스트만(지휘), 드르트닝홀름 궁정 극장 오케스트라
(1:08-3:25)
========================================
9/9(토)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 같은 마음
아름다운당신에게
2023.09.09
조회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