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 2023년 1월 10일 (화) 저녁 7시 30분
2. 장소 :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국립합창단 신년음악회
2023년 국립합창단과 함께하는 새로운 한 해의 시작
***출연
지휘 윤의중(예술감독)
연주 국립합창단
협연 한충은(대금, 소금), 전계열(장구), 이형철(소리북)
강드보라(제1바이올린), 이무은(제2바이올린), 윤염광(비올라), 정민영(첼로)
새해의 시작을 응원하는 시간
국립합창단(단장 겸 예술감독 윤의중)은 창단 50주년인 2023년 계묘년(癸卯年)을 맞아, 2023년 1월 10일(화) 저녁 7시 30분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신년음악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는 코로나19 일상 회복을 위해 애쓰고 있는 국민들을 위로하고, 다가오는 새해의 희망과 응원을 전하고자 마련한 무대이다.
국립합창단의 <신년음악회>는 ‘위로의 합창’과 ‘한국의 현대 합창’을 주제로 새롭게 다가올 2023년의 시작을 함께한다. 1부에서는 지난 6월에 발매한 국립합창단의 첫 번째 정규앨범
앨범 타이틀 곡을 비롯하여, 한국의 다채로운 현대 합창곡들로 힘과 에너지 가득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2부에서는 미국의 작곡가 제이크 룬스타드(Jake Runestad)의 곡으로 사랑과 희망의 무대를 선사한다.
첫 번째 곡 <새야 새야>에서는 한충은(KBS 국악관현악단 부수석)이 소금과 대금을, 장구 전계열, 소리북 이형철의 연주로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소리를 전한다. 이어서 에는 스트링 콰르텟이 함께한다. 강드보라(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정단원), 이무은(코리안 챔버 케스트라 정단원)의 바이올린 연주와 바이올리니스트 윤염광(서초교향악단 부악장)이 이번 공연에서 비올라를 연주하고, 첼리스트 정민영(베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수석)이 함께 무대를 꾸민다.
한국 가곡과 현대 합창 명곡들로 꾸미는 풍성한 신년 무대
첫 시작은, 국립합창단 앨범 의 타이틀 곡 오병희의 <새야 새야>로, 1894년 동학농민혁명 당시 유행했던 전래민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와 1400년 전 유럽에서 불렀던 그레고리안 찬트(Gregorian Chant)의 응답송 ‘Libera me'의 단편을 결합하여 재해석한 곡이다. 이어서 ‘어-기-영-차’ 4음절의 가사가 강렬한 리듬 · 액센트로 순환하며 변화하는 우효원의 <어기영차>, 한국 현대 합창 작곡가 오예승의 <바람결에 흩어진 속삭임>, 일제 시대 일본 어선들이 우리나라 남해바다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 그물을 당기면서 어로요(민요)의 후렴구에 부르던 조혜영의 <세노야>, 우리 귀에 익숙한 민요 곡조에 화성적 색채를 입히고 음색, 템포, 셈여림의 대비를 더해 현대적으로 만든 오병희의 <쾌지나칭칭> 등 총 5개의 작품을 선보인다. 2부에서는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미국의 작곡가 제이크 룬스타드(Jake Runestad)의 , 의 2곡을 연주한다. 이 중 은 우리에게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는 곡이다.
***지휘 윤의중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학사 졸업
미국 University of Cincinnati 합창지휘 석사 및 박사 졸업
창원시립합창단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역임
수원시립합창단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 역임
한국합창지휘자협회(KCDA) 및 한국합창총연합회(KFCM) 이사
한세대학교 합창지휘 전문대학원 교수
현) (재)국립합창단 단장 겸 예술감독, Asia Choral Association 한국대표,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 예술위원
***연주 국립합창단
국립합창단은 우리나라 합창음악의 전문성과 예술성 추구를 위해 1973년에 창단된 전문합창단으로 본격적인 합창 예술운동의 선두주자이자 합창음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선도해왔다. 2000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예술단체로 독립, 재단법인으로 재발족하여 매년 5회의 정기연주회와 60여 회의 기획연주, 지방연주, 해외연주, 외부출연, 공공행사 등 다양한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 불리는 헨델, 바흐, 하이든, 멘델스존, 브람스, 칼 오르프 등 세계적인 작곡가의 합창작품을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한 국립합창단은 합창음악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한국 창작 합창곡 개발과 보급, 한국적 특성과 정감을 표출하는 창법, 해석법의 정립 등에 앞장서며 한국 합창음악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현재 제11대 윤의중 단장 겸 예술감독이 부임하여 ‘위대한 합창 시리즈’, ‘K-합창 클래식 시리즈’, ‘창작합창 컬렉션’ 등 다양한 기획 프로그램을 통해 합창음악 저변에 기여하고 있다.
***대금, 소금 한충은
국악팝스오케스트라 “여민” 악장
청소년국악관현악단 지도교수
현) KBS 국악관현악단 부수석
***장구 전계열
추계예술대학교 졸업
송만갑 고수대회 대상
KBS 국악한마당 반주
국립창극단 창극 메디아, 아비방연 타악기 디자인
***소리북 이형철
추계예술대 졸업
국악실내악단 슬기둥 단원역임
창작음악집단 groove it 대표
세종국악관현악단 “영웅-이순신” 협연
국립국악원 <꼭두>, <산대희>
국립현대무용단 <경인> 음악극 <살암시민 살아진다>, <눈먼사람> 등 타악세션
***제1바이올린 강드보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영재학교 졸업
독일 베를린 한스 아이슬러 국립음대 Diplom, KW과정 졸업
독일 뮌헨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포항시향 객원악장, 과천시향 객원수석, 부산교대, 건국대 음악영재교육원 강사 역임
현)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정단원, 국립 강릉원주대학교 겸임교수, 상명대 뉴미디어음악학과 강사
***제2바이올린 이무은
한양대학교 졸업(4년 장학생), 독일 라이프찌히 국립음대 Master 졸업
서울시립교향악단,KBS교향악단, 부천시립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객원단원
충북도립교향악단, 과천시립교향악단, 강릉시립교향악단 객원수석 역임
현)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정단원, 충남대학교 실기강사
***비올라 윤염광
한국문화제 전국콩쿠르 금상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수석졸업
맨하탄음악대학 석사 및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강남심포니오케스트라 수석역임
현) 서초교향악단 부악장
***첼로 정민영
선화예술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졸업(실기전체수석 장학금수혜)
음악춘추, 스트라드, 한세대국민일보, CBS음악콩쿠르 등 국내외 다수 음악 콩쿨 우승 및 입상
현) 라퓨즈플레이어즈 수석연주자, 유나이티드필하모닉 수석, 베하필하모닉오케스트라 수석
#프로그램
<Ⅰ부>
1. 새야 새야 (작곡 오병희)
2. 어기영차 (작곡 우효원)
3. 바람결에 흩어진 속삭임 (작곡 오예승)
4. 세노야 (작곡 조혜영)
5. 쾌지나칭칭 (작곡 오병희)
- INTERMISSION -
<Ⅱ부>
6. Elegy (작곡 Jake Runestad)
7. The Hope of Loving (작곡 Jake Runestad)
※상기 프로그램은 연주자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