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 2021년 7월 8일 (목) 저녁 8시 2. 장소 : 티엘아이 아트센터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바리톤 김기훈 독창회 2019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오페랄리아 국제 성악 콩쿠르 준우승! 세계 무대가 사랑하고,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선택한 최고의 성악가! 21세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성악가, 바리톤 김기훈! 20세기 최고의 성악가로 베르디 오페라 중 무려 17개의 역할을 소화할 수 있었다는 일명 ‘베르디안 성악가’ 피에로 카푸칠리(Piero Cappuccilli, 1926~2005). 바리톤 김기훈은 탁월한 호흡 조절과 유연한 레가토가 일품인 카푸칠리를 ‘가장 닮고 싶은 성악가이자 음악적 영감을 얻는 최고의 아티스트’로 꼽는다. 20세기 유럽 오페라 무대의 거장 카푸칠리와 떠오르는 태양 김기훈은 비교적 늦게 성악을 시작하였지만 빠른 시간 안에 세계 무대를 사로잡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베르디의 걸작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에서 여주인공 비올레타에 빠진 아들 알프레도를 회유하기 위한 아버지 제르몽의 노래 ‘Di provenza il mar il suol(프로벤자 내 고향)’과 <맥베스(Macbeth)>에서 광기에 사로잡힌 맥베스가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며 회한에 찬 심정으로 부르는 노래 ‘Perfidi!...pietà rispetto amore(연민도, 명예도, 사랑도)’는 바리톤 김기훈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레퍼토리로 손꼽힌다. 김기훈은 두 아리아를 통해 극으로 치닫는 인물의 감정을 그만의 깊고 섬세한 감성으로 풀어내며 ‘세계적인 성악가’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가 가진 폭발적인 에너지와 뛰어난 음악성, 고급스러운 표현력 등을 말미암아 세계 성악계는 21세기 오페라 무대를 장악할 주역으로 바리톤 김기훈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스타의 탄생은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독보적인 음색에 녹아 든 압도적인 카리스마, 세계를 사로잡은 거장의 탄생! 비교적 늦은 시기에 성악을 시작하여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전남 곡성 출신 모범생 김기훈. 그는 고3 겨울방학 무렵 성악을 시작한지 3개월 만에 도전한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뛰어난 소리를 가졌다’는 평가를 받으며, 연세대 음대를 수석으로 졸업하였고, 독일 하노버 음대 석사 졸업 후 현재는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에 재학 중이다. 일찍이 국내 동아음악콩쿠르, 성정콩쿠르, 수리음악콩쿠르 등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하며, 국내에서 입지를 탄탄히 다져온 그가 세계 오페라 무대의 지각변동을 예고한 것은 2016년부터이다.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우승, 뤼벡마리팀 국제성악콩쿠르에서 연달아 우승을 거머쥐며, 독일 하노버 슈타츠오퍼(독일 명문 오페라극장) 솔리스트로 활동하였고, 오페라 <리골레토>, <살로메>, <라 트라비아타>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해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크게 호평 받았다. 그는 세계 여러 무대에 오르며 풍부한 경험으로 쌓은 탄탄한 음악성과 독보적인 소리의 질을 정점으로 끌어올렸고, 드디어 2019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오페랄리아(도밍고 국제성악콩쿠르) 결선무대에서 폭발적인 카리스마와 매력적이고 품격 있는 음악을 선보이며 준우승을 거머쥐었다. 특히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에서 2위로 호명될 당시 ‘김기훈이 1위가 아닌 것’에 대하여 객석에서는 불만이 표출되었다. 경연 장소였던 마린스키 극장의 관계자들 역시 ‘누가 봐도 명백한1위’를 수상하지 못한 것에 믿을 수 없다며 김기훈에게 직접 전화를 해 아쉬워하며 안타까움을 전했다는 후일담이 전해진다. 바리톤 김기훈은 “결과는 아쉽지만 큰 무대에서 매우 값진 경험을 했다”며 “최고의 순간이었다”고 회상하였다. 그가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수상자 갈라 콘서트에서 부른 오페라
이번 주 초대 공연을 안내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월~금 생방송 도중 #9390(50원 유료문자)으로 신청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당첨자 분들께 따로 연락드리겠습니다.
[마감] 7/8(목) 바리톤 김기훈 독창회
아름다운 당신에게
2021.06.28
조회 352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 2021년 7월 8일 (목) 저녁 8시 2. 장소 : 티엘아이 아트센터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바리톤 김기훈 독창회 2019 차이코프스키 국제 콩쿠르, 오페랄리아 국제 성악 콩쿠르 준우승! 세계 무대가 사랑하고,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선택한 최고의 성악가! 21세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성악가, 바리톤 김기훈! 20세기 최고의 성악가로 베르디 오페라 중 무려 17개의 역할을 소화할 수 있었다는 일명 ‘베르디안 성악가’ 피에로 카푸칠리(Piero Cappuccilli, 1926~2005). 바리톤 김기훈은 탁월한 호흡 조절과 유연한 레가토가 일품인 카푸칠리를 ‘가장 닮고 싶은 성악가이자 음악적 영감을 얻는 최고의 아티스트’로 꼽는다. 20세기 유럽 오페라 무대의 거장 카푸칠리와 떠오르는 태양 김기훈은 비교적 늦게 성악을 시작하였지만 빠른 시간 안에 세계 무대를 사로잡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베르디의 걸작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에서 여주인공 비올레타에 빠진 아들 알프레도를 회유하기 위한 아버지 제르몽의 노래 ‘Di provenza il mar il suol(프로벤자 내 고향)’과 <맥베스(Macbeth)>에서 광기에 사로잡힌 맥베스가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며 회한에 찬 심정으로 부르는 노래 ‘Perfidi!...pietà rispetto amore(연민도, 명예도, 사랑도)’는 바리톤 김기훈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레퍼토리로 손꼽힌다. 김기훈은 두 아리아를 통해 극으로 치닫는 인물의 감정을 그만의 깊고 섬세한 감성으로 풀어내며 ‘세계적인 성악가’의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가 가진 폭발적인 에너지와 뛰어난 음악성, 고급스러운 표현력 등을 말미암아 세계 성악계는 21세기 오페라 무대를 장악할 주역으로 바리톤 김기훈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스타의 탄생은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독보적인 음색에 녹아 든 압도적인 카리스마, 세계를 사로잡은 거장의 탄생! 비교적 늦은 시기에 성악을 시작하여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전남 곡성 출신 모범생 김기훈. 그는 고3 겨울방학 무렵 성악을 시작한지 3개월 만에 도전한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하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뛰어난 소리를 가졌다’는 평가를 받으며, 연세대 음대를 수석으로 졸업하였고, 독일 하노버 음대 석사 졸업 후 현재는 동 대학 최고연주자과정에 재학 중이다. 일찍이 국내 동아음악콩쿠르, 성정콩쿠르, 수리음악콩쿠르 등 유수의 콩쿠르를 석권하며, 국내에서 입지를 탄탄히 다져온 그가 세계 오페라 무대의 지각변동을 예고한 것은 2016년부터이다.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우승, 뤼벡마리팀 국제성악콩쿠르에서 연달아 우승을 거머쥐며, 독일 하노버 슈타츠오퍼(독일 명문 오페라극장) 솔리스트로 활동하였고, 오페라 <리골레토>, <살로메>, <라 트라비아타>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해 관객과 평단으로부터 크게 호평 받았다. 그는 세계 여러 무대에 오르며 풍부한 경험으로 쌓은 탄탄한 음악성과 독보적인 소리의 질을 정점으로 끌어올렸고, 드디어 2019년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오페랄리아(도밍고 국제성악콩쿠르) 결선무대에서 폭발적인 카리스마와 매력적이고 품격 있는 음악을 선보이며 준우승을 거머쥐었다. 특히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에서 2위로 호명될 당시 ‘김기훈이 1위가 아닌 것’에 대하여 객석에서는 불만이 표출되었다. 경연 장소였던 마린스키 극장의 관계자들 역시 ‘누가 봐도 명백한1위’를 수상하지 못한 것에 믿을 수 없다며 김기훈에게 직접 전화를 해 아쉬워하며 안타까움을 전했다는 후일담이 전해진다. 바리톤 김기훈은 “결과는 아쉽지만 큰 무대에서 매우 값진 경험을 했다”며 “최고의 순간이었다”고 회상하였다. 그가 차이코프스키 국제콩쿠르 수상자 갈라 콘서트에서 부른 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