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원의 아름다운 당신에게

음악FM 매일 09:00-11:00 (재) 매일 02:00-04:00

이번 주 초대 공연을 안내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월~금 생방송 도중 #9390(50원 유료문자)으로 신청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당첨자 분들께 따로 연락드리겠습니다.

[마감] 5/11(토) 박종화 피아노 리사이틀
아름다운 당신에게
2019.04.22
조회 287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 2019년 5월 11일 (토) 저녁 8시 2. 장소 :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3. 초대인원 : 5쌍 (1인 2매, 총 10매) 4. 작품설명 : 박종화 피아노 리사이틀 “불멸의 거장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터를 능가” - 보스턴 글로브 “천둥같이 나타난 한국의 젊은 천재” - 스페인 ABC 지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멈추지 않는 혁신적인 아티스트 박종화, 7년만에 리사이틀로 돌아오다! 피아니스트 박종화가 2019년 5월 11일(토)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리사이틀 무대를 갖는다. 2012년 첫 국내 앨범 를 SONY Classics를 통해 발표하며 새로운 해석과 연주로 클래식 팬들의 호평을 받았던 박종화는 첫 앨범인 에 이어 2015년에 ‘엄마야 누나야’ 등 친숙한 동요를 피아노곡으로 재해석한 두 번째 음반 를 유니버설을 통해 발매하여 대중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또한 영화 “피아니스트의 전설”의 오리지널 극 작품인 연극 <노베첸토>에도 출연하여 장르를 넘나드는 새로운 시도를 선보였으며, 이후 도시 재생 예술 프로젝트 ‘달려라 피아노’와 ‘BACH in the Subways’의 예술감독으로 참여하여 음악예술의 사회 확산에 주력 해 왔다. 2016년에는 몇 년에 거쳐 직접 제작한 피아노 트레일러와 함께 전국을 돌며 음악을 전달하는 ‘Music in Motion’ 프로젝트가 KBS 1TV ‘다큐 공감’에 방영되어 클래식 계에 신선한 반향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2018년까지 <동요, 클래식이 되다>를 주제로 가수 하림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세대간의 공감을 일으키는 특별한 연주회를 개최, 관객 저변 확산에도 기여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와 도전에 이어 7년만에 열리는 2019년 박종화 피아노 리사이틀에서는 브람스-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베토벤의 마지막 피아노 작품이자 창작 활동의 최절정의 시기에 탄생한 최고의 작품 디아벨리 변주곡을 무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박종화, 그는 왜 브람스와 베토벤의 변주곡을 선곡했는가? 브람스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바이올린의 귀재 파가니니의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24개의 카프리스를 바탕으로 한 28개의 변주곡이다. 이 곡은 「피아노 연습곡」이라는 제목이 붙은 두 권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각각 14개의 변주를 갖고 있다. 브람스는 이 곡에 <정교한 손가락을 위한 피아노 연습곡>이라고 적었다. 즉, 이것은 예술적인 변주곡인 동시에 기교적으로 아주 어렵다고 일컬어지는 연습곡으로, 각 변주마다 연주 기교상의 문제를 계속해서 제시하고 있다. 헨델 변주곡보다 더욱 기교적이며 브람스의 피아노 기법의 한 정점을 이루는 작품으로 피아니스트의 최고 기술을 발휘시키는 작품이며, 현란한 곡에 속한다. 또한 베토벤의 마지막 피아노 작품이자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디아벨리 변주곡은 베토벤 창작활동의 최절정기에 탄생한 피아노 작품집으로 연주 시간이 장장 50여분에 이르는 대곡이다. 이 작품은 단순히 곡의 길이 뿐만 아니라 곡 전체를 통해 미묘한 변화와 장대한 구성 속에 베토벤 특유의 유머, 풍자, 고집, 인간미, 너그러움과 자비, 번민이 표현되어 있어 베토벤의 음악세계를 집대성한 걸작으로 꼽힌다. 한스 폰 뷜로는 베토벤-디아벨리 변주곡을 “베토벤 예술의 소우주”라고 표현했고 아르놀드 쇤베르크는 “화성의 측면에서 베토벤의 가장 실험적인 작품”이라고 기술하였으며,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브렌델 또한 이 작품을 “모든 피아노 작품 가운데 가장 위대한 작품”이라고 칭송해 왔다. 피아니스트 박종화는 2020년 베토벤 탄생 250주년에 앞서 베토벤의 음악 세계를 다시 한번 진정으로 탐구하기를 원했고, 베토벤의 깊은 정신성과 작품성을 관객에게 선보이고자 베토벤 디아벨리 변주곡을 선택하였으며, 디아벨리 변주곡에 앞서 피아노의 기교의 정점을 이루는 브람스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을 연주한다. 이번 연주회는 피아니스트 박종화에게 또 한번의 도전이자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대중과 예술 사이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 온 진정한 아티스트 박종화, 그가 그려내는 브람스와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은 어떠할 지 기대해도 좋다. ***피아니스트 박종화 피아니스트 박종화는 5세에 동경음대 영재학교에서 미우라 카츠코, 이구치 아이코를 사사한 후 1992년 뉴 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전설적인 피아니스트 러셀 셔먼 문하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쳤다. 이후 1998년 이탈리아에서 개최되는 저명한 마스터 클래스 “Il Fondazione per Il Pianoforte” 에 참가하여 카를 울리히 슈나벨, 드미트리 바슈키로프, 푸총, 레온 플라이셔, 알리시아 데 라로차,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같은 시대적 명장들과 교류했다. 또한 1999년 드미트리 바슈키로프 교수를 따라 마드리드의 소피아 왕립 음악원에서 최고 연주자 과정을 마쳤으며, 2003년에는 독일로 건너가 엘리소 비르살라제 교수 문하에서 뮌헨 음대의 최고 연주자 과정을 마쳤다. 유럽에서 공부하는 동안 박종화의 연주 경력은 화려하게 꽃피기 시작하였다.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 뮌헨의 헤르큘레스 홀, 마드리드 국립 콘서트 홀, 벨기에의 팔레 드 보 등 세계 유명 공연장을 무대로 연주하였으며, 세계적인 보스턴 심포니, 뉴햄프셔 심포니, 드레스덴 심포니, 상트 페테르부르크 심포니, 벨기에 플레미쉬 국립 오케스트라, 북네덜란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그의 탁월한 연주 능력은 세계적인 콩쿠르의 입상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기 시작했다. 12세 때 일본 마이니치 음악 콩쿠르에서 1위 수상을 비롯하여, 2003년 부조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입상 및 부조니 상 수상, 1995년 퀸 엘리자베스 국제 피아노 콩쿠르 최연소 입상(5위) 및 최우수 연주자 상을 받았으며, 특히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는 표트르 안드리센이 수여하는 비평가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또한 1998년 텔아비브에서 개최되는 루빈슈타인 콩쿠르 특별상, 스페인 산타데르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는 특별상과 청중상을 동시에 받았고, 이 밖에도 한국과 일본, 미국에서 개최되는 여러 국내 콩쿠르에서 다수 우승 또는 입상하며 새로운 스타 탄생을 알렸다. 그는 음악적인 다양한 경험과 커리어를 교육에 헌신하고자 2007년 서울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2012년 첫 국내 앨범 를 SONY Classics를 통해 발표하며 전국 투어와 함께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15년에는 ‘엄마야 누나야’ 등 친숙한 동요를 피아노곡으로 재해석한 두 번째 음반 ‘NUNAYA’가 유니버설을 통해 발매되었고 전국 투어 연주를 성황리에 마쳤다. 도시 재생 예술 프로젝트 ‘달려라 피아노’와 ‘BACH in the Subways’의 예술감독으로 참여하여 음악예술의 사회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몇 년에 거쳐 직접 제작한 피아노 트레일러와 함께 전국을 돌며 음악을 전달하는 ‘Music in Motion’ 프로젝트가 KBS 1TV ‘다큐 공감’에 방영되어 클래식계에 신선한 반향을 일으켰다.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챔버 오케스트라 중 하나인 취리히 챔버 오케스트라와 협연, 대전시립교향악단, 성남시립교향악단, 경기필하모닉, KBS 교향악단과 함께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기원음악회, 부산시립교향악단, 목포시립교향악단, 평택시립교향악단, 울산시립교향악단 등 국내외 유수 오케스트라와 함께 활발한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프로그램 베토벤 33 Variations in C Major on a waltz by Diabelli, Op. 120 Var 1. Tema : Vivace - Alla Marcia Maestosa Var 2. Poco Allegro Var 3. L'istesso Tempo Var 4. Un Poco Piu Vivace Var 5. Allegro Vivace Var 6. Allegro Ma Non Troppo E Serioso Var 7. Un Poco Piu Allegro Var 8. Poco Vivace Var 9. Allegro Pesante E Risoluto Var 10. Presto Var 11. Allegretto Var 12. Un Poco Piu Moto Var 13. Vivace Var 14. Grave E Maestoso Var 15. Presto Scherzando Var 16. Allegro Var 17. (Allegro) Var 18. Poco Moderato Var 19. Presto Var 20. Andante Var 21. Allegro Con Brio - Meno Allegro - Tempo 1 Var 22. Allegro Molto Var 23. Allegro Assai Var 24. Fughetta (Andante) Var 25. Allegro Var 26. (Allegro) Var 27. Vivace Var 28. Allegro Var 29. Adagio Ma Non Troppo Var 30. Andante, Sempre Cantabile Var 31. Largo, Molto Espressivo Var 32. Fuga (Allegro) Var 33. Tempo Di Minuetto Moderato Intermission 브람스 28 Variations on a theme by Paganini Op.35 Heft 1. Thema. Non Troppo Presto Heft 1. Variation No.1 Heft 1. Variation No.2 Heft 1. Variation No.3 Heft 1. Variation No.4 Heft 1. Variation No.5 Heft 1. Variation No.6 Heft 1. Variation No.7 Heft 1. Variation No.8 Heft 1. Variation No.9 Heft 1. Variation No.10 Heft 1. Variation No.11 Andante Heft 1. Variation No.12 Heft 1. Variation No.14 Allegro.Presto Ma Non Troppo Heft 2. Variation No.1 Heft 2. Variation No.2 Poco Animato Heft 2. Variation No.3 Heft 2. Variation No.4 Poco Alleggretto Heft 2. Variation No.5 Heft 2. Variation No.6 Poco Piu Vivace Heft 2. Variation No.7 Heft 2. Variation No.8 Allegro Heft 2. Variation No.9 Heft 2. Variation No.10 Feroce, Energico Heft 2. Variation No.11 Vivace Heft 2. Variation No.12 Un Poco Andante Heft 2. Variation No.13 Un Poco Piu Andante Heft 2. Variation No.14 Presto Ma Non Trop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