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초대 공연을 안내합니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고 월~금 생방송 도중 #9390(50원 유료문자)으로 신청해주세요.
추첨을 통해 당첨자 분들께 따로 연락드리겠습니다.
[마감] 3/30(토) & 4/2(화)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아름다운 당신에게
2019.03.04
조회 836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생방송 중에
50원의 정보이용료가 부과되는 # 9390 문자로
<공연 제목>과 <본인 성함>을 정확히 적으셔서 신청해주세요.
당첨자 분들에게는 개별적으로 당첨안내문자를 보내드립니다.★
1. 일시 및 장소 :
2019년 3월 30일 (토) 오후 5시, 경기도문화의전당 대극장
2019년 4월 2일 (화) 저녁 8시, 롯데콘서트홀
■원하시는 공연 날짜와 함께 신청해주세요■
2. 초대인원 : 10쌍 (1인 2매, 총 20매)
3. 작품설명 :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폭발적인 러시아 사운드 의 정수 ,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한국을 대표하는 세기의 거장,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함께
러시아를 대표하는 오케스트라인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이하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State Academic Symphony Orchestra of Russia “Evgeny Svetlanov”)가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노의 거장인 백건우와 함께 한국을 찾아온다. 창단 당시에는 소련 국립 교향악단(USSR State Symphony Orchestra)이라는 명칭으로 세계에 러시아 오케스트라 특유의 강렬한 색채를 널리 알렸으며, 1965 년부터 2000 년 까지 가장 오랜 기간 악단을 이끈 전설적인 마에스트로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의 이름을 따라 스베틀라노프 심포니로 활동 중이다. 3 월 런던 필하모닉을 이끌고 내한하는 지휘자, 블라디미르 유롭스키가 현재 스베틀라노프 심포니의 예술감독으로 있다. 오케스트라 전체를 장악하는 힘있는 비팅의 지휘자인 아르망 티그라니얀(Arman Tigranyan)의 지휘로 함께 할 이번 공연은 4 월 2 일(화) 저녁 8 시 롯데콘서트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서울 공연 이전에 3 월 29 일 안동문화예술의전당, 30 일 경기도문화의전당에서의 공연들도 준비되어 있다.
1 부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백건우가 협연자로 무대에 올라 차이콥스키 대표 레퍼토리인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연주한다. 정통 러시아의 낭만적이며 강렬한 사운드를 이어받아 2부에서도 차이콥스키의 대표작인 교향곡 5번이 연주된다. 이번 공연은 극적인 오케스트레이션과 폭발적인 감성이 돋보이는 차이콥스키 대표 작품 두 곡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네메 예르비가 “깔끔한 지휘와 세심한 카리스마로 모두를 사로잡을 특별한 음악가”라며 극찬한 티그라니얀, 그리고 역동적이며 화려한 러시아 레퍼토리 해석에 있어 단연 세계 최고로 인정받는 스베틀라노프 심포니가 선사할 러시아의 밤이 기대되는 공연이다.
다채로운 색깔의 차기 마에스트로 , 아르망 티그라니얀
러시아 출신의 아르망 티그라니얀(Arman Tigranyan)은 미국 피바디 음악원과 독일 칼스루에 국립음대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한 후 러시아 차이코프스키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한 다채로운 이력의 지휘 신성이다. 2012년 여름 예르비 썸머 아카데미 & 페스티벌에 처음으로 초청받은 이후 2013 년과 2014 년 연속으로 재초청 받아 실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후 나탄 라흘린 페스티벌, 러시아 국립 오케스트라, 발틱해 청소년 오케스트라 등의 무대에서 지휘하였으며, 크리스토프 펜데레츠키, 크리스티안 예르비, 데니스 마추예프, 니콜라이 루간스키 등 세계적인 지휘자 및 연주자들과 함께 무대에 서기도 하였다. 현재 IMG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독보적인 감성과 진실된 음악의 대한민국 대표 피아니스트 , 백건우
한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백건우(Kun-woo Paik)는 끊임없이 음악 한 길 만을 연구하는 구도자적 풍모로 피아노계의 거장으로 불린다. 피아니스트로서의 행보를 시작한지 올해로 63 년, 세계적인 권위의 콩쿠르 및 디아파종상, 프랑스 3대 음반상 수상의 쾌거를 이루며 거장의 반열에 올랐다. <프랑스 예술문화기사훈장>(2000), <호암예술상>(2000)을 연이어 수상, 거장 피아니스트로서의 입지를 단단히 하였으며 바흐부터 메시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레퍼토리로 유명하다. 지난 2017년에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곡 전곡 연주 프로젝트 <여정>으로 뜨거운 호응을 이끈 바 있다. 이미 일흔을 넘긴 나이에도 매일 피아노 연습과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곡에 도전하는 그를 사람들은 '건반 위의 구도자'라 부른다.
***오케스트라 러시아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알렉산드르 가우크(1936-1941), 나탄 라흘린(1941-1945), 콘스탄틴 이바노프(1945-1965),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1965-2000)와 같은 뛰어난 지휘자들이 수년간 이끈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는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오케스트라 중 하나이다. 1936 년 10 월 5 일, 알렉산드르 가우크와 에리히 클라이버의 지휘로 모스크바 음악원 그레이트홀에서 데뷔 무대를 가졌다. 2005 년 10 월 27 일,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의 이름을 딴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로 공식적으로 명명되었고, 2000 년부터 2002 년까지 바실리 시나이스키, 2002 년부터 2011 년까지 마르크 고렌슈타인이 음악감독을 역임하였다. 2011 년 10월 24 일, 런던 필하모닉의 블라디미르 유롭스키가 예술감독으로 임명되었으며 2016/17 시즌부터 바실리 페트렌코가 수석 객원지휘자를 맡고 있다.
오토 클렘페러, 키릴 콘드라신, 로린 마젤, 예프게니 므라빈스키, 샤를 뮌슈,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쿠르트 잔데를링,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발레리 게르기예프, 쿠르트 마주어, 레너드 슬래트킨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마에스트로들이 객원지휘한 바 있다. 함께 협연한 저명한 솔로이스트로는 드미트리 흐보로스토프스키, 플라시도 도밍고, 반 클라이번, 에밀 길렐스,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예프게니 키신, 그리고리 소콜로프, 레오니드 코간, 예후디 메뉴인, 다비드 오히스트라흐,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마르크 안드레 아믈렝, 미츠코 우치다, 루돌프 부흐빈더 등의 음악사에 큰 획을 그은 음악가들이 포진하고 있다.
스베틀라노프 심포니의 인상적인 음반으로는 예프게니 스베틀라노프가 지휘한 러시아 교향악 전집이 있는데, 이는 미하일 글린카부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까지 이르는 러시아 작곡가들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어 전세계 음악 애호가들에게 사랑받는 고전으로 손꼽힌다.
1972 년에 그들의 창의적인 업적을 인정받아, ‘아카데미‘라는 명예로운 타이틀을 수여받았으며 1986 년에 노동적기훈장을 받았다. 2006 년, 2011년 그리고 2017년에 오케스트라는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지휘 아르망 티그라니얀 Arman Tigranyan
러시아와 미국에서 성장한 아르망 티그라니얀은 여러 나라의 음악 전통과 표현 방식을 결합시키는 타고난 능력을 통해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지휘자로 자리매김하였다. 친구이자 그의 멘토인 파보 예르비는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아르망은 특유의 카리스마가 있으며 , 깔끔한 지휘 스타일과 디테일에 대한 주목도가 타고난 지휘자이다 . 모든 방면을 사로잡는 능력이 있으며 이 세대를 대표하는 음악가이자 지휘자이다 . 그는 앙상블의 심리를 매우 잘 이해하고 있고 , 긍 정적인 효과들을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달성 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다 .”
2018/19 시즌에 아르망 티그라니얀은 러시아 내셔널 오케스트라와 일데브란도 다크안젤로와 함께 모스크바의 새로운 공연장인 자르야드예에서 지휘하며, 이외에도 할레 슈타츠카펠레, 크리미아 국립 아카데미 오케스트라, 아르모니아 카메라타 등 여러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한다.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와는 한국에서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 & 6번, 그리고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투어 할 예정이다.
2017/18 시즌 초, 팔레르모 클래식 페스티벌에서 피아니스트 발렌티나 리시차의 협연으로 팔레르모 클래시카 심포니를 지휘하였다. 이를 계기로 2017년 팔레르모 클래식 페스티벌의 예술감독 및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취임하여 5 년간 활동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신포니에타 크라코비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유스 오케스트라,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크리미아 국립 아카데미 필하모닉을 지휘하였다.
2012 년 여름, 티그라니얀은 파보 예르비와 네메 예르비에게로부터 초대를 받아 예르비 여름 아카데미 & 페르누 페스티벌에서 지휘하였으며, 특히 네메 예르비와 함께 레이고에서 열린 마지막 공연의 일부를 지휘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후 2013, 2014 년 연속으로 아카데미와 페스티벌에 재초청 받아 실력을 인정받았다. 2013년 가을에는 MDR 심포니와 발트 해 유스 필하모닉의 상임 지휘자인 크리스티안 예르비의 조수로 발트 해 유스 필하모닉, 러시아 국립 스베틀라노프 심포니 (협연: 데니스 마추예프)와 작업하였고, 우제돔 음악 페스티벌에서도 지휘하였다.
2012 년에는 ‘아르모니아 카메라타’라는 체임버 오케스트라를 독일에서 지인들과 함께 설립하였으며,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현재 IMG 소속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피아노 백건우
피아니스트로서의 행보를 시작한 지 올해로 63 년, 세계적인 권위의 콩쿠르에서 수차례 수상하며 거장의 반열에 오른 백건우. 일흔을 넘긴 나이에도 매일 피아노 연습과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곡에 도전하는 그를 사람들은 ‘건반 위의 구도자’라 부른다.
1946 년 서울에서 태어난 백건우는 1956 년 열 살의 나이에 김생려가 지휘하는 해군교향악단(현 서울시립교향악단)과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으로 데뷔하였고 이듬해에는 독주회에서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을 한국 초연으로 선보여 큰 관심을 모았다. 1969 년 부조니 국제 콩쿠르에서 특별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1971 년 나움부르크 콩쿠르에서 우승이라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듬해에는 링컨센터에서 라벨 피아노 독주곡 전곡을 연주하는 의욕적인 무대를 선보여 뉴욕타임즈 등의 주요 매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유럽으로 활동 무대를 넓혀 위그모어홀, 베를린 필하모니 홀에서 연이어 독주회를 가졌고 1987 년 BBC 프롬스 폐막무대에 초청받아 BBC 심포니와 협연하였다. 1991 년에는 ‘프로코피예프 탄생 100 주년 기념음악회’에서 안토니 비트가 지휘하는 폴란드 국립 방송교향악단과 함께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연주하며 주목받았다. 1992 년 스크랴빈 피아노 작품집으로 디아파종상을 수상하였고, 1993년에는 프로코피예프 피아노 협주곡 전곡집으로 디아파종상을 포함한 프랑스 3대 음반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2000 년 데카 클래식과 계약을 맺은 백건우는 부조니 편곡의 바흐 오르간곡집을 시작으로 포레, 쇼팽 등 다양한 작품으로 음반을 발매하였는데,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 전곡집은 그 중에서도 가장 기념비적인 성과다. 2005 년 소나타 16~26 번이 담긴 첫 번째 음반이 출반되었으며, 전곡 녹음이 완성된 2007 년에는 중국과 한국에서 베토벤 소나타 전곡을 연주하는 독주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2016 년에는 60 년 연주인생의 동반자였던 관객들을 향한 감사의 뜻을 담아, 청중들의 사연과 신청곡을 공모로 선발하여 연주하는 리사이틀 ‘백건우의 선물’을 선보였다.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선사한 이 공연은 제2회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제4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최우수상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프랑스 파리에 거주고 있는 그는 그 업적을 인정받아 2000년 프랑스 “예술문화 기사훈장”을, 국내 호암재단으로부터 “호암 예술상”을 수여받았으며, 2017 년에는 국가브랜드대상 예술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2007 년과 2017 년, 8 일 동안의 베토벤 32개 피아노 소나타 전곡 리사이틀 무대를 선보이며 뜨거운 성원을 받았다.
#프로그램
스크랴빈 몽상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 번, Op. 23
I. A llegro non troppo e molto maestoso Allegro con spirito
II. Andantino semplice Prestissimo Tempo1
III. Allegro con fuoco Molto meno mosso Allegro vivo
- INTERMISSION -
차이콥스키 교향곡 5번, Op. 64
I. Andante Allegro con anima ? Molto piu tranquillo
II. Andante cantabile, con alcuna licenza ? Non allegro Andante maestoso con piano
III. Valse. Allegro moderato IV. Finale. Andante maestoso Allegro Vivace Molto Vivace Moderato assai e molto maesto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