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가수 조영남
오늘 화제의 인터뷰에서는 가수 조영남 씨를 만납니다. 조영남 씨가 콘서트를 여는데요.
이게 항상 여는 콘서트가 아닙니다.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 클래식을 위주로 무대를 꾸민다는 거죠.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이라는 장소도 특이하고 공연의 내용도 특이하고 이래저래 화제입니다. 조영남 씨 만나보죠. 안녕하세요?
◆ 조영남> 안녕하세요. 저 조영남입니다.
◇ 김현정> (웃음) 원래 전공이 성악이시잖아요.
◆ 조영남> 그렇죠.
◇ 김현정> 그럼 몇 년 만에 성악으로 무대에 서시는 겁니까?
◆ 조영남> 그게 따져보니까 뭐 연도 수 얘기하기가 창피한데 한 4, 50년 만에 20대 때 대중음악으로 나왔으니까 꽤 오래된 것 같아요.
◇ 김현정> 이번 음악회 어떤 음악회인가요?
◆ 조영남> 클래식은 중간에 섞어요. 제 동생 성악가, 정식 성악가를 불러서 또 하나 조영수, 제 동생으로 알려져 있어요.
◇ 김현정> 그렇죠.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 조영남> 엄마, 아버지 이름이 그 친구 아버지 이름도 조승초고 저희 아버지도 조승초로 알려져 있거든요. 엄마 이름도 똑같고.
◇ 김현정> 그분이 중간에 나오세요?
◆ 조영남> 예, 그리고 또 한 사람. 김승일이라고요. 스타킹쇼라는 데서 야식배달하는 친구가 화제를 일으킨 적이 있어요.
◇ 김현정> 야식배달부가 너무나 가곡을 잘해서. 맞아요, 한국의 폴포츠다 그랬었죠.
◆ 조영남> 예, 그런 적 있죠. 그래서 같이 출연해서 같이 노래해요.
◇ 김현정> 그런데 조영남 씨, 어떻게 대중가수가 오페라극장에서 클래식 공연을 하겠다, 이런 결심을 하신 거예요?
◆ 조영남> 저는 그냥 재수가 좋아서 저한테 그 오케이가 되지 않았나 싶은데.
◇ 김현정> 지금 무슨 말씀이신가 청취자분들이 이게 좀 헷갈리실 텐데.
이 공연의 의미가 깊은 게 사실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은 대중음악인들에게는 아주 까다로운 곳, 허가를 안 주는 곳으로 유명하죠.
◆ 조영남> 아주 까다로운 정도가 아니죠.
◇ 김현정> 인순이 씨는 수차례 실패를 해서 기자회견도 열고 그랬어요.
◆ 조영남> 그랬대요. 그것 때문에 제가 무한한 큰 책임을 지고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잘해야 우리 다음 가수들한테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저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 김현정> 그래서 더 열심히 준비하고 계신다고 제가 들었습니다. 조영남 씨 만나고 있습니다. 그나저나 요즘 조영남이라는 이름을 인터넷에 치면 연관검색어가 뭐가 뜨는지 아세요?
◆ 조영남> 저 몰라요. 저는 컴퓨터하고 스티브잡스하고 나는 관계없이 살았어요.
◇ 김현정> (웃음) 조영남이라는 이름을 치면 조영남 집, 조영남 집값, 이런 게 떠요.
◆ 조영남> 그게 몇 년 전 일인데.
◇ 김현정> 그게 말이죠. 2010년부터 지금까지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가장 비싼 집에 사는 연예인 1위로 계속 뽑히셨대요.
◆ 조영남> 저한테 지금 묻는 거죠, 그 느낌이 어떠냐고?
◇ 김현정> 영광스러우세요? 부담스러우세요?
◆ 조영남> 영광도 이만저만 영광이 아니죠. 남자가 둥지를 근사하게 틀었다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고 멋진 일이라고 저는 생각하는데 제가 일찍이 20년 전에 유학하는데 제가 다닌 학교가 바닷가에 있었어요, 플로리다.
◇ 김현정> 미국에.
◆ 조영남> 그때 알았죠. 집은 바닷가에 있으면 굉장히 값이 올라간다는 거. 거기에서 배워가지고 와서 20년 전부터 그 한강을 따라다녔어요.
◇ 김현정> 일부러 비싼 집을 산 게 아니라 그 당시에는 싼 집이었는데.
◆ 조영남> 그때만 해도 뭐 비싼 개념이 없었을 때인데 서울에서 이런 장소는 단 한 군데밖에 없다, 판단했는데 그래서 그 집을 샀는데 그게 재개발하면서 제가 돈 불리는 데 아주 무슨 귀재처럼 알려졌잖아요.
◇ 김현정> 원래 재테크에는 관심 없으세요?
◆ 조영남> 노.노.노. 관심 없어요, 저는.
◇ 김현정> 그러니까 그저 그냥 강이 좋아서 강 주변에 집을 사면 참 좋겠다 싶어서 사놓은 것이 20년 만에, 우리나라 최고로 좋은 집 가진 연예인이 되셨어요.
◆ 조영남> 그런 게 뜻밖의 그런 영광을 누리게 됐어요.
◇ 김현정> 오해하지 마셔야 될 게 제가 이 집을 TV에서 보니까 집 자체는 굉장히 크고 좋은데 그 안은 소박하게 꾸며놓으셨더라고요. 사치, 호화 이거와는 거리가 멀게.
◆ 조영남> 맞아요, 그거 어떻게 아셨어요?
◇ 김현정> 제가 봤습니다. 보고 느꼈어요.
◆ 조영남> 거의 모든 가구는 제가 손수 짜서 응접실 테이블도 놓고 침대도 내가 짠 거고 비싼 물건은 거의 없어요.
◇ 김현정> 그런데도 좀 본의 아니게 좋지 않은 말들이나 따가운 시선, 질투, 이런 거 느끼실 때도 있죠?
◆ 조영남> 저는 신체적으로 안티가 뭐 일찍부터 안티가 비호감으로 버릇이 돼서 웬만한 거 가지고는 그렇게 내가 쩔쩔매고 그렇지는 않아요.
◇ 김현정> 제가 지금 인터뷰하면서도 느끼는 거지만 조영남 씨가 솔직하다 못해 거침이 없습니다. 거침이 없어요.
그래서 본의 아니게 구설수에도 많이 오르는데 괜찮으신 거예요? 이제는?
◆ 조영남> 나는 내 딴에는 최대한 가려서 하는 건데. 현정 씨가 듣기에는 다소 솔직하게 들렸는지 모르겠지만 가려 할 건 또 가려 하죠.
◇ 김현정> 들으면서 즐거운 인생이고 자유로운 인생이다, 자유로운 영혼이다.
◆ 조영남> 그건 맞아요. 평생 저는 재미있는 것만 추구했고 재미없는 건 때려죽여도 안 한다, 이런 모토로 살아왔어요.
◇ 김현정> 가수, 화가, 또 작가, 방송진행자, 참 여러 가지를 해 오셨는데.
또 도전하고 싶은 분야가 있으실 거 아니에요. 조영남의 또 다른 도전.
◆ 조영남> 그런 건 없어요.
◇ 김현정> 그런 건 또 없으십니까?
◆ 조영남> 없어요.
◇ 김현정> 예를 들면 말이죠, 연기라든지 이런 것도 잘하실 것 같은데요?
◆ 조영남> 노노노. 뮤지컬 같은 것은 한번 하면 하기는 할 텐데. 지금 뭐 그것까지 하면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마지막 하고 싶은 것은 딱 한 가지 있어요.
◇ 김현정> 뭡니까?
◆ 조영남> 현정 씨하고 사귀는 거예요. 이거 다 웃긴다고 생각하겠죠.
◇ 김현정> 하여튼 끝까지 재미있으세요, 조영남 씨.
◆ 조영남> 고마워요, 재미있게 받아주셔서 제가 하는 얘기가 아니고 백남준 선생이 마지막 순간에도 나는 사랑을 해 보고 싶다, 그런 대답을 한 적이 있어요.
◇ 김현정> 맞아요, 백남준 선생님.
◆ 조영남> 그거 그대로 지금 카피한 거예요.
◇ 김현정> 그러면 또 한 번 결혼하고 싶다, 이런 생각도 하시는 거예요?
◆ 조영남> 상대가 있으면 하죠. 안 하고 내가 못 버티겠다, 그러면 할 거예요.
◇ 김현정> 그런 사람이 아직은 없습니까?
◆ 조영남> 그렇죠. 지금 현재 없으니까 안 하고 있는 거겠죠.
◇ 김현정> 알겠습니다. 하여튼 재미있으신 분이고 열정적인 분이고. 이번에는 진지한 질문인데요. 이번 음악회, 상당히 의미 있는 음악회인데 이번 음악회에 꼭 초대하고 싶은 사람 한 명이 있다면 누가 될까요?
◆ 조영남> 죽은 친구들이, 세상 떠난 친구들이 갑자기 생각나는데. 세상 떠났으니까 제가 이름을 대도 될 것 같네요. 그리운 친구들 음악회 왔으면 좋겠다. 장영희 서강대 교수, 친구였었고 김점선 화가, 또 최윤희.
◇ 김현정> 행복전도사...
◆ 조영남> 친한 친구였었고. 최근에 세상 떠난 이윤기, 소설 쓰는.
◇ 김현정> 이윤기 선생까지.
◆ 조영남> 그런 친구들이 문득 생각나네요. 아, 그런 친구들을 생각하게 해 줘서 정말 고맙습니다.
◇ 김현정> 정말 의미 깊은 음악회. 이분들이 참석은 못 하지만 아마 하늘에서 같이 음악회 즐기실 것 같아요.
◆ 조영남> 그러겠죠.
◇ 김현정> 준비 잘하시고요. 2월 23일, 24일 공연 저도 가겠습니다.
◆ 조영남> 전화를 저한테 꼭 주셔야 돼요. 제가 기억해야 되니까...
◇ 김현정> 고맙습니다. 건강하십시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2/1(수) 가수 조영남 "40년만에 클래식 음악회 열어요"
2012.02.01
조회 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