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D 인력 부족과 약대 6년제 전환에 따른 공백 우려
- 일반의약품 슈퍼 판매 제한은 적절, 안전성 최우선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원희목 한나라당 의원(보건복지가족위)
혹시 약사가 부족하다는 얘기 들어보셨습니까? 어제 보건복지가족부에서 ‘2011학년부터 전국 약대의 정원을 400명 증원하겠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연고대를 비롯해서 여러 대학들이 약대 신설하겠다는 얘기가 나와서요. 이런 배경이 있었나 봅니다. 대한약사회 회장을 지내신 분이죠.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 만나봅니다.
[IMG0]◇ 김현정 앵커> 약사가 얼마나 모자란 건가요?
◆ 원희목> 전국 20개 약학대학에서 정원이 1,216명입니다. 그런데 지금 몇 가지 충원돼야 될 요소들이 생겼죠. 첫 번째가 제약산업의 R&D 분야가 상당히 부족하게 돼서 매년 400명 이상이 추가로 투입돼야 된다고 통계가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병원 약사들도 법정기준에서 한 40% 정도 충원되고 있습니다. 모자라는 부분이 꽤 있어서 거기도 좀 필요하고. 또 약국 개업약사들도 연간 900명 정도가 신규투입을 해야 되는데. 그래서 현재 1,216명 정원에서 계산을 해보면 최소한 1,600명 정도는 충원이 돼야겠다는 게 전반적인 통계자료고요. 그러다보면 400명 정도, 최소한 그 정도는 해야 되겠다, 이런 결과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 김현정 앵커> 약사 분들도 동의를 다 하시는 거고요?
◆ 원희목> 저도 약사회장 출신이었지만, 사실 전문직들 거의 대부분이 증원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반대를 하고 있죠. 왜냐하면 전문직의 희소성에 대한 가치가 있기 때문에. 그런데 이제는 그 단계는 지났고 펴놓고 논의해야 될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앵커> 그러면 증원을 하더라도 어떤 식으로 할 것인가, 이게 또 다른 문제인데요. 기존 약대의 정원을 늘려 줄 것인가? 아니면 없는 대학을 신설할 것인가? 첨예한 갈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연대, 고대는 이미 하겠다고 나섰고요. 어떻게 해야 된다고 보세요?
◆ 원희목> 문제가 기존 약학대학들이 지금 6년제가 되었잖아요? 6년제가 시행이 되다 보면 새로운 교수진들도 충원이 돼야 되고. 그래서 최소한의 약대인원이 배정이 돼야 됩니다. 그런데 지방 약대 같은 경우는 30~40명 정원인 약대들이 많고요. 80명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는데, 80명 이상 되는 약대가 전국에서 4군데 밖에 없습니다. 중앙대학교, 이화여대, 숙명여대, 덕성여대 밖에 없고 나머지는 인원들이 적어서. 기존 약대들이 어느 정도 유지를 하고 또 학문적인 성취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인원이 정리가 돼야 된다고 보고요.
그리고 신설약대에 대해서는 약사수급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전제로 해야 되겠지만 생명공학이나 바이오분야라든가 이런 데에 치중하는 대학들이 그 연구의 완성을 위해서 또 약학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그런 것들을 면밀하게 이번에 분석을 해서 풀어나가야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앵커> 일부 학교에서는 이게 이기주의라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웬만한 단과대학 다 가진 큰 학교가 약대까지 가지려고 하느냐, 약대가 6년제로 바뀌니까 이공계 인재들 끌어 모으려고 욕심내는 거 아니냐, 형평성에 어긋난다.... 이런 지적은 어떻게 보십니까?
◆ 원희목> 고려대나 연대 같은 경우가 특히 그럴 거예요. 고려대 같은 경우에는 생명공학에 대해서 상당히 연구분야를 활발히 진행하는 대학인데요. 약학대학이 없음으로 해가지고, 연세대학도 마찬가지죠, 약학대학이 없음으로 해서 실제 그 분야에서 상당히 좀 아쉬움이 있죠. 학문적인 아쉬움도 있고, 꼭 필수적인 분야인데. 그런 것 때문에 하는 것이고.
또 을지대 같은 경우는 보건의료 쪽으로 특성화 대학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약학대학이 없어요. 그러다보니까 의약품에 대한 전문가인 약사들이 없음으로 해서 또 신약개발의 문제라든가 보건의료시스템의 문제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에 충원을 하려고 계획을 한다고 보고 있죠.
◇ 김현정 앵커> 혹시 연대, 고대나 이런 대학들 약학과 만들어주려고 증원계획 낸 건 아니냐, 이런 오해도 있을 법 한데?
◆ 원희목> 그건 그렇게 돼서는 안 되죠. 필요성에 대해서도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공감을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 약학대학 증원이 됐다고 그러면 문제가 있고요. 이건 한 30년 동안 정원이 묶여 있었습니다. 아까도 말씀하셨지만 대한약사회에서 사실은 증원에 대해서 상당히 거부반응을 보였었고. 30년 동안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보건의료 쪽이나 R&D쪽이나. 실제로 6년제가 되면서 이 문제가 불거져 나온 거죠.
◇ 김현정 앵커> 지금 청취자님들 문자도 보내주고 계시고요. 사실 저도 궁금했던 내용인데. 나오신 김에 이거 하나 더 여쭙죠. 일반의약품의 슈퍼판매를 허용하는 문제, 이게 계속 논의가 되다가 결국 안 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힌 건가요?
◆ 원희목> 네.
◇ 김현정 앵커> 이게 일반약인데도 불구하고 오남용, 부작용이 클 거라고 보십니까? 미국이나 선진국에서는 이미 다 시행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 원희목> 그런데 약이라는 게 일반상품하고 달라서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칩니다. 식품도 요새 안전성이지만 의약품은 더하죠. 그래서 일반 유통이나 가게에서 의약품을 취급한다는 것은 복약 지도가 문제가 되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큰 것은 유통이라든가 보관 상태라든가 유효기간 점검이라든가. 지금 약국에서는 철저한 관리감독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유통에 수십만 개 약이 풀렸을 때는 그 약을 통제할 방법이 없고요. 외국에서도 미국 같은 경우는 워낙 접근성이 떨어져서 그러는데. 지금 유럽 쪽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약국들이 약국의 판매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게 잘못 알려져 있는데.
◇ 김현정 앵커> 유럽 쪽은 다 금지하고 있나요?
◆ 원희목> 다는 아닌데. 프랑스나 이탈리아, 터키, 그리스, 포르투갈, 생각나는 것만 해도 20-30개 국가인데. 그리고 세계에서 보건의료 선진국으로 뽑히는 스웨덴, 이런 데도 전부 다 약국 판매를 금지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영국 같은 데는 판매를 허용하고 있는데. 거긴 약국 1개당 5,600명 정도의 국민들의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또 다른 (슈퍼판매)하는 나라들은 보통 약국 1개당 국민 수가 3000~4000명.
◇ 김현정 앵커> 우리나라 같은 경우도 약국들이 빨리 빨리 문을 닫아버려서요. 도시에서도 일반 감기약이나 진통제 같은 걸 밤에 구하기가 어렵거든요?
◆ 원희목> 맞아요, 그게 지금 문제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약국 1개당 2,300명 정도의 국민들이 해당되기 때문에 세계에서 약국 숫자가 가장 많은 데가 우리나라인데. 문제는 휴일이나 명절이나 심야시간에 약을 찾을 수 없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당번 약국제도를 활성화시키고 어느 정도 노력을 하고 있는데. 그런 여러 가지 노력들이 같이 어우러지면, 지금 우리나라 같은 경우 2,300명 당 약국이 있는 이런 접근성에서, 굳이 가게에다 약을 팔게 할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 김현정 앵커>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주요 인터뷰를 실시간 속기로 올려드립니다.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5/14(목) 한나라당 원희목 의원 "약대증원,약대신설 모두 필요"
2009.05.14
조회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