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홍의 한판승부

표준FM 월-금 18:00-19:30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반드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

11/18(목) "역대 최다 확진, 서울만이라도 서킷 브레이크 해야"
2021.11.18
조회 208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한판승부>'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한판승부> FM 98.1 (18:25~20:00)
■ 진행 : 박재홍 아나운서
■ 패널 : 진중권 작가, 김성회 소장
■ 대담 :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 박재홍> 그런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전문가 가운데 한 분을 오늘 전화로 연결하겠습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님이세요. 교수님, 안녕하세요.

◆ 천은미> 안녕하십니까?

◇ 박재홍> 일단 확진자와 중증환자 계속 급증하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이 원인을?

◆ 천은미> 4차 대유행이 지금 지속이 되어서 확진자가 누적되어 있던 상태입니다. 그런데 11월 1일부터 위드 코로나가 시행이 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지난 주말을 계기로 어제부터 본격적으로 위드 코로나 영향에 의한 확진자 수와 중증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박재홍> 결국 위드 코로나 정책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 이렇게 분석을 하시는 거군요?

◆ 천은미> 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런데 이제 위드 코로나 할 때 백신 접종 완료율이 한 80% 되면 확진자 1만 명 나오더라도 감당할 수 있다 이런 자신감이 있었던 건데 지금 한 3000명 수준이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현 상황 심각하게 봐야 되는 것 맞습니까?

◆ 천은미> 백신 접종을 하게 되면 우리가 면역자가 될 거라는 생각을 못했고요. 대부분 백신 접종 후에 한 달 이후부터 돌파가 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특히 고령층, 60대 이상은 면역이 기간이 짧고 또 면역 형성 자체가 적게 되다 보니까 면역 자체에 대한 저항이 약하기 때문에 돌파감염이 많고 그럼으로 인해서 60대가 지금 30% 이상을 지금 확진자를 차지하고 있고 그 60대로 인해서 중환자가 지금 서울, 수도권에 특히 서울에 많이 포화가 되고 있습니다.

◇ 박재홍> 한 달 이후부터 돌파감염이 시작된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이 감염자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라는 분석이신데. 지금 진중권 작가와 김성회 소장과 같이 있습니다. 함께 질문하겠습니다. 진 작가님.

◆ 진중권> 지금 돌파감염률이 어느 정도 됩니까?

◆ 천은미> 돌파감염률이 지금 사실은 얀센 같은 경우는 10만 명당 266명으로 굉장히 높고요. 모더나가 제일 적기는 합니다마는 0. 1% 정도, 전 인구의. 그 정도로 지금 되고 있는데 아마도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이 더 떨어지기 때문에 돌파감염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 김성회> 교수님, 지금 중환자 병상이 서울은 80% 차 있고 지방은 아직 여유가 있잖아요.

◆ 천은미> 네.

◆ 김성회> 이런 경우에 환자들의 이전에 의한 80%를 낮추는 방법도 가능합니까? 아니면 너무 멀어서 불가능하다고 봐야 될까요?

◆ 천은미> 서울에 있는 중환자는 서울에서도 이동이 불가합니다. 왜냐하면 중환자라고 하는 분들은 인공호흡기를 끼거나 에크모를 사용하는 분들을 저희가 중환자라고 하기 때문에 같은 병원 내에서도 환자가 호전되지 않으면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비수도권과 수도권을 동시에 하는 것은 지금으로서는 매우 불합리하다. 수도권은 수도권을 따로 분리를 해서 중환자 관리를 해야 되고 수도권에 있는 중환자를 비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것은 사실상 중환자를 보는 의사 입장에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성회> 그렇다면 중환자 병동을 더 확보하기 위해서 민간병원의 확보를 받거나 이미 했던 걸로도 알고 있는데 이게 좀 빨리빨리 느는 건 안 되는 모양입니다?

◆ 천은미> 우리가 중환자 병상을 만들 때는 해외는 1인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환자를 보다가 코로나 환자가 바로 입원할 수 있습니다만 우리나라 중환자 병실은 다 오픈, 개방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 병실에 입원해 있는 분들을 다 퇴소를 시키고 그것을 시설 투자를 해서 의료인력을 충원하는 기간이 최소한 한 달이 걸립니다. 그렇게 만든 중환자실이 40개 정도가 나오려면 큰 대형병원 하나가 다 지금 소비가 되기 때문에 시간과 재정, 의료 문제에서 사실은 지금은 거의 한계에 다다랐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진중권>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부스터샷은 지금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 천은미> 고령자가 지금 60대 이상의 고위험군 고령자가 50만 명 정도가 부스터샷을 맞으셨고요. 얀센이 45만, 전체적으로는 한 2. 6%인 134만 정도가 부스터샷을 맞으셨습니다. 저희가 생각보다는 아직 부스터샷이 많이 맞지 않은 상태고 특히나 미접종자들에 의해서 지금 감염자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요양시설이나 고위험군은 부스터샷을 격려를 해야 되되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을 부작용을 조금 더 폭넓게 지원을 해서 접종을 하도록 하는 것이 지금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지금 위드 코로나 가면서 또 중요한 방점으로 재택치료로 어떤 환자에 대한 관리를 이동하자는 그러한 주장이 있었는데 지금 재택치료 문제점을 교수님께서는 많이 지적하고 계시죠?

◆ 천은미> 우리가 재택은 치료가 아니고 재택대기상태입니다. 해외에서는 확진자가 급속히 늘면서 병원에 입원을 못 하기 때문에 재택을 했던 것인데 국내에서는 아마도 백신 접종을 많이 했기 때문에 연령이 높은 고위험군도 돌파가 돼더라도 중증으로 가지 않을 거라는 예상 하에 재택치료를 늘린 겁니다. 사실은 전담병원을 다 채우고 나서 입원을 못하는 분들이 재택이 되야 되고 특히나 60대 이상은 돌파가 돼도 중증으로 상당히 많이 가고 있고 정부는 지금 취약시설에서만 확진자가 나온다고 생각하시지만 사실은 일반 60대 이상에 고령층이 전체적인 확진자가 늘면서 감염이 늘어서 수도권에서 중환자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제 개인적 견해는 60대 이상은 백신 접종과 상관없이 전담병원에 우선적으로 무증상 상태에서 입원을 하더라도 일주일이 지나면 폐렴으로 진행하는 것을 조기에 치료하게 되면 중환자 발생을 낮출 수가 있습니다. 중환자 병상을 늘리는 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담병원을 중소병원으로 이용해서 확대를 하고 그곳에서 초기에 치료를 함으로 인해서 중환자 발생을 줄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 김성회> 교수님 말씀하셨던 중환자 줄이는 방법 중에 또 좋은 게 획기적인 방법이 먹는 치료제 이야기를 하고 지금 식약청도 허가를 내주고 있고 이렇다고 하는데 이게 예상하고는 어긋나게 진행되고 있는 건가요?

◆ 천은미> 우리가 먹는 치료제 머크는 연내 승인이 되게 되면 아마 연말 정도에 복용을 할 수 있지만 입원환자의 한 50%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대규모 연구가 없기 때문에 부작용면을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이 약 자체가 완전히 게임체인저로 보기는 어렵고요. 일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앞으로 한 달 이상은 우리가 이 방역이나 이러한 병상 유지가 되지 않으면 먹는 치료제를 아직 복용하기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 진중권> 정부에서는 지금 상태가 취약한 시설을 중심으로 감염이 되고 있는 거라서 비상계획, 서킷브레이커라고 하죠. 이걸 발동할 상황은 아니라고 하는데 이 판단은 어떻게 봐야 되 나요?

◆ 천은미>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완전히 다른 양상이고요. 지금 말씀드린 대로 취약시설, 요양시설에서 우리가 요양병원으로 이송이 안 되면서 거기서 N차 감염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하는 게 상당 부분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인 중환자, 확진자는 확진자 증가로 인해서 가족 감염이나 사회에서 감염이 되는 60대 이상의 고령자가 훨씬 많기 때문에 이러한 분들은 지금 사실은 병상에서 치료가 안 되면 중환자로 바로 갈 수 있고 그래서 제가 재택치료나 생활치료시설을 특히 생활치료시설은 치료 대기 상태가 아닌 인력을 이쪽으로 투입을 해서 진정한 의미의 생활치료시설로 만들어서 전담병원 직전에 치료시설로 투입을 한다면 훨씬 효과적으로 진행을 할 수 있고 비수도권과 수도권을 통합해서 중환자를 보는 것은 지금으로서는 저는 조금 중환자 보는 입장에서는 위험하다고 생각하고요. 특히 서울이 단독으로 저는 지금 상태에서 일부분 방역 강화와 의료에 관한 서킷브레이커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서울만이라도 일단은 비상계획을 발동해야 된다, 서킷브레이커를 실시해야 한다 이런 입장이신 거네요.

◆ 천은미> 일부에서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일부에서라는 건 어떤. 서울지역을 말씀하시는 거죠?

◆ 천은미> 서울지역에서 우리가 의료방안이라든지 그리고 이동량 감소에 대한 정부의 방침이 저는 우선은 필요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내일 정부 방침이 나온다고 하는데 그러면 어떤 내용이 꼭 포함되어야 할까요? 비상계획을 발령하면 어떻게 되는. 다시 모임 제한해야 되고 인원수 제한 필요한 거죠?

◆ 천은미> 고위험시설에 대한 일부 제한이 조금 필요할 텐데 자영업자분들 입장을 고려해서 아마 쉽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이 들고요. 또 병상 준비는 지금 바로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금 가지고 있는 일반 전담병원과 생활치료시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중환자를 발생하지 않도록 인력 배분을 철저히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뭐랄까요, 이런 상황을 보시는 국민 여러분들도 굉장히 피로하실 것도 같은데 현 상황을 어떻게 이해하시고 함께 이걸 극복해야 될지. 마지막으로 한 말씀 더해 주시면요?

◆ 천은미> 서울에서의 확산세는 비수도권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서울에서의 확산세를 우리가 좀 안정화시켜야 되고 여기에서 의료체계를 안정화시키지 못하면 많은 분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는 불행한 사태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정부당국이나 국민들께서는 이동량 감소를 꼭 해 주시고 정부로서는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환자가 되지 않도록 기초 치료를 잘할 수 있도록 방역체계를 새로 만들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박재홍> 교수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천은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