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홍의 한판승부

표준FM 월-금 18:00-19:30

"인터뷰를 인용 보도할 때는 반드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십시오."
-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 승부>

7/15(금) 정호진 "정의당 10년이 민주당 의존 노선? 대단히 모욕적"
2022.07.15
조회 371
*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CBS라디오 <한판승부>'를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CBS에 있습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방송 : CBS 라디오 <한판승부> FM 98.1 (18:25~20:00)
■ 진행 : 박재홍 아나운서
■ 패널 : 진중권 작가, 김성회 소장
■ 대담 : 정호진 전 정의당 수석대변인



◇ 박재홍> CBS 라디오 한판승부와 함께하고 계시죠. 지난 월요일 한석호 정의당 10년평가위원회 위원 장을 연결을 해서 정의당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지 짚어봤는데요. 오늘은 그에 대한 반론을 듣겠습니다. 정의당 비례대표 의원들의 총사퇴를 위한당원 총투표를 제안한 분이세요. 정호진 전 정의당 수석대변인을 연결하겠습니다. 대변인님 안녕하십니까?

◆ 정호진> 안녕하세요. 정호진입니다.

◇ 박재홍> 일단은 정의당 비례대표 총사퇴를 주장을 하셨습니다. 많이 말씀하셨겠습니다마는 간단히 어떤 이유로 그러한 총사퇴를 주장하시는지 말씀해 주실까요?

◆ 정호진> 현재 정의당은 부정할 수 없는 위기입니다. 물론 이 위기가 모든 원인이 비례대표 국회의원에게만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당에 대한 노고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당 대표당과 함께 당의 주요한 의사를 결정했고요. 사실상 지도부입니다. 어찌 보면 국회의원 발언과 역할이 당대표보다 크면 컸지 적지 않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데요. 국민들에게 있어서 그렇다 보니 정의당 비례대표 국회의원들의 말과 행동이 정의당 정체성이자 당론이자 이미지로도 비춰졌습니다. 지방선거 직후 당대표는 즉각적으로 사퇴했는데요. 사실 제가 비례대표 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를 발 의하기 이전에 지방선거 직후부터 우리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 사퇴 요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 당원에서는 현재까지 1인 시위를 하는 분들도 있었고요. 존재하고 있는 이런 흐름이 있는데 아쉽게도 책임 있는 답변과 행동이 없었습니다.

◆ 진중권> 비례대표 의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린 것, 어떤 정치적 행동을 한 게 문제가 되나요?

◆ 정호진> 아니요. 그에 대한 답이나 행동 같은 것은 없었고요. 당 같은 경우는 밑바닥부터 다시 바꾸자,쇄신하자는 얘기가 있어서 비대위가 구성됐지만 마치 아무 일 없는 듯이 일상으로 들어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말씀드리는 거는 당에 있어서 쇄신의 영역이 있을 수 없다, 성역이 있을 수 없다고 보고요. 모든 것을 좀 다시 다 내려놓고 정의당 다시 시작하자. 그리고 정치적 책임을 함께 지자. 그런 강력한 당의 쇄신의 의지를 국민들께 좀 보여주자. 그것이 정의당을 살릴 수 있는 결단이라고 봤고요. 당을 위한 쇄신 고육책으로 한 것입니다.

◆ 진중권> 아니, 국민들이 말이죠. 국민들이 원하는 건 정의당이 지금 뭘 잘못했는지를 알고 그 잘못을 한 사람들을 구체적으로 검역하고 그 사람들에게 책임을 묻고 그다음에 그 일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어떤 시스템을 개혁하고 이거를 바라지 포괄적으로 비례대표 너희들이 문제다. 너희들 지도부니까, 이렇게 얘기해서는 이거 무슨 뭡니까 희생양 제의도 아니고 뭔지를 모르겠거든요.

◆ 정호진> 진중권 작가님께서는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앞서서 말씀드렸듯이 이미 당의 시도당의원장 연석회의, 지도자연석회의 각종 주요한 회의에서도 이런 요구가 있었습니다.

◆ 진중권> 그런 사람 몇몇 사람이.

◆ 정호진> 그와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관례가 있다고 보고요. 진중권 박사님께서 말씀하듯이 정의당이 무엇이 문제였는지 앞으로 뭘 바로 잡을 것인지 이런 부분에 대한 논의 당연히 있어야 됩니다. 쇄신의 방향이 한 가지가 있을 수 없고요. 또 쇄신이 선으로 따지는 게 아니고 같이 풀어가야 되는 부분이라고 저는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한 가지 더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지난번에 한석호 비대위원께서 나오셔 가지고 당원들 총투표와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 비대위는 총투표를 상정하고 있지 않다. 심지어 비대위 자다가 남의 다리 긁는다. 무슨 의도인지 모르겠다. 참 재미없다 이런 식의 발언을 하셨는데요. 이거 대단히 위험하고 적절하지 않은 발언입니다.

◇ 박재홍> 대변인님 말씀 계속하셔서.

◆ 진중권> 하시는데 제가 질문을 좀 할게요. 국민들이 볼 때는 정의당이 그렇게 추락한 원인을 국민들이 다 짚고 있고요. 모든 사람들 거기에 합의를 하고 있거든요, 대충 다. 뭐냐 하면 첫째가 조국 사태입니다. 두 번째가 박원순 사태 때 조문 사태예요. 세 번째가 검수완박 사태거든요. 여기에 가장 책임 있는 사람들이 누구입니까?

◆ 정호진> 일단은 말씀드리면 조국 사태와 관련해서는 당은 수차례 오판이었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 진중권> 그런데 아직까지도 그거 그때 말입니다. 조국 사태 때 사퇴를 그렇게 몰고 갔던 그 사람들 아직도 그대로 있지 않습니까?

◆ 정호진> 구체적으로 누구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 진중권> 예를 들어서 예컨대 한창민 씨라든지 박창진 씨라든지. 그리고 이분들이 지금 반성문을 갖다 반성문을 내는데 조국 사태 부분은 다 빠져 있더라고요.

◆ 정호진> 죄송하게도 특정인을 거명해서 말씀드리는 부분은 부단히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요. 당시 조국 사태와 관련돼서 당의 시도당위원장연석회의나 지역위원장들에게 의견을 물어서 당론을 정한 것입니다. 한 가지 말씀드리면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 때 단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가 찬성했던 부분입니다. 모두가 같이 오판했던 부분에 대해서 우리는 시인했고요. 잘못을 인정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특정인을 거명해서 말씀하시는 거는 제가 보기에는 제가 지금 비례대표 사퇴 권고 당원 총투표 발의를 대표 발의한 사람으로서 제가 굳이 질문할 답이 아닌 것 같은데요.

◆ 진중권> 제가 지금 질문하는 게 바로 그거입니다. 한 명 빼놓고 나머지 모든 곳에서 찬성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지금 비례대표 총사퇴하라고 뭡니까? 주장하는 그분들이 또 그분들이잖아요.

◆ 정호진> 아니요. 저기 진중권 작가님 이렇게 말씀하시는 건 대단히 불쾌한데요. 저는 일단은 특정인을 비례대표 후순위로 넣기 위해서 이 일을 한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진중권 작가님께서는 지난번에 안티 페미니즘 세력들이 그렇게 한다라고 말씀하셨는데 대단히 불쾌합니다. 그다음에 개인적으로 민주노동당이 현재 정의당까지 20년 넘게 당에 있고요. 기타 저도 주요한 당직을 맡았던 당사자입니다. 단 한 번도 안티 페미니스트라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어요. 그런 식으로 쉽게 낙인 찍고 갈라치기하시는 건.

◇ 박재홍> 알겠습니다. 두 분은 여기까지 하고 제가 질문하겠습니다, 지금부터는. 대변인님, 그래서 지난 월요일에 정의당 10년평가위원회 한석호 위원장이 1기 정의당의 실패는 심상정 노사의 실패고 심상정 노선은 민주당 의존 노선이었다고 평가를 내지 않았습니까? 어떤 점에서 그러면 대변인께서는 의견을 달리하신 건가요?

◆ 정호진> 저는 대단히 극단적이고 편협하고 당의 10년을 심각하게 평가절하하는 모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박재홍> 모욕이다.

◆ 정호진> 남의 집 가서 떡고물 쓴다는 정의당 이런 식의 표현까지 했는데요.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지난 10년간 정의당은 심상 정 노선만 있었던 게 아닙니다. 고 노회찬 대표님도 계셨고요. 고 천호선 대표, 이정희 대표 등도 있었습니다. 통진당 사태 이후에 세간살이 없이 맨몸으로 나와 서 한때 18%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수많은 당원들의 땀과 눈물과 노력이 있는 이 역사인데요. 지금 정의당이 위기 상황이라고 해서 그 역사를 그냥 민주당 이중대로 손쉽게 규정하는 민주당 의존적인 역사였다고 규정하는 것은 저는 저로서는 용납이 되지 않았습니다.

◆ 진중권> 그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모든 국민들은 뭐라고 생각하냐 하면 정의당이 자기의 색깔을 잃어버리고 민주당 이중대 노릇을 했다가 망했다고 판단하시는데 지금 평가 자체가 다른 거잖아요.

◇ 박재홍> 대변인께서는 뭐가 문제였습니까? 대변인이 보시기에는 그러면 어떠한 노선 외에 어떤 문제가 핵심적으로 정의당의 어려움의 위기 원인이었을까요?

◆ 정호진> 정의당 위기는 한 가지 이유만은 아니죠. 종합적이고 되게 중층적인 부분이기도 합니다.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야 이미 다 아는 부분이고요. 리더십도 붕괴됐습니다. 정책도 사실 실종됐고 지역 조직도 대단히 허약하게 된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되짚어봤을 때 앞에서 말씀드렸지만 정의당 창당 초중반 시기까지는 기존에 있었던 분들 리더십을 발휘했기 때문에 당이 성장했던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김종철 당대표 사퇴 이후에 당 리더십 심하게 흔들렸고요. 지난 총선에 비례경선에서 이끌 수 있는 당내의 젊은 리더들 모두 나가떨어진 상태였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중층적으로 다 같이 있었다는 부분을 인정을 해야 되고요. 비단 민주당 이중대와 관련된 부분만 가지고 콕 집어서 얘기하는 것은 저는 대단히 좀 균형 잡힌 시각이 아니라고 봅니다.

◇ 박재홍> 그러면 비례대표 1번부터 5번까지 다 사퇴를 하시고 6번부터 10번을 보면 신장식, 배복주, 박창진, 이자스민, 양경규 이분들로 만약에 총사퇴를 하면 바뀌게 되는데 아까 진 작 가님 말씀은 이분들도 정의당의 어려움에 큰 책임이 있는 분들도 있는데 이렇게 이제 바뀌는 게 맞느냐, 이런 말씀도 하시는 것 같아요.

◆ 정호진> 비례대표 사퇴 권고 총투표를 봤을 때는 정확히 사퇴 권고입니다. 최종적인 몫은 우리 비례대표 국회의원들에게 정치적 결단으로 남겨놓은 문제고요. 후순위 후보분들에 대한 호불호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 부분에 대한 것들까지 우리가 일일이 평가하고 거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부분인 것 같고요. 이 과정 속에서 당원들의 판단이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 진중권> 수석대변인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이것도 문제고 저것도 문제도 저것도 문제고 저것도 문제고 그중의 하나다 이렇게 상대화를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일방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정의당이 지금 이렇게 몰락을 한 것들은 민주당 이중대 노릇하다가 몰락했다. 이게 지금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거든요. 이걸 갖다 상대화하고 그렇게 해서 정의당을 몰아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사람들을 새로 비례대표위원으로 만든다는 게 제대로 된 해결책이냐는 거죠.

◆ 정호진> 저는 진중권 작가님이 말씀하시는 합의가 어디에서 이루어진 합의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물론 민주당 이중대에 대한 정의당의 비판 저도 잘 알고 있고요. 제가 좀 말씀드리고 싶은 건 그겁니다. 정의당이 중심이 든든하고 뿌리가 깊었으면 민주당 이중대라는 말이든 국민의힘 이중대라는 말이든 우리는 우리의 길을 꿋꿋하게 가야 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당의 중심이 든든하지 않다보니까 민주당 이중대라고 얘기하면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국민의힘 이중대라고 하면 왼쪽으로 고개 돌리고 그러다 보니 국민들에게 있어서는 좌고우면하는 모습으로 보이면서 정체성에 혼란이 있는 것이냐 이런 비판을 받게 됐고요. 저는 그런 측면에 있어서 민주당 이중대와 관련된 현실적인 국민들의 따가운 지적, 더 깊이 새겨야 된다고 보고요. 당의 중심은 어떻게 든든히 가져갈 것인가. 이것이 저의 과제라고 봅니다.

◇ 박재홍> 당의 중심 앞으로 정의당의 새로운 정체성 은 뭡니까?

◆ 정호진> 정의당 창당 때부터 땀으로 일하는 모든 시민을 위한 당이었습니다. 노동자의 당이었고 비정규직의 당이었고 여성의 당이었고 농민의 당이기도 했습니다. 정의당의 존재 이유가 거기서부터 시작이 됐거든요. 저는 그러한 부분을 다시 한번 차근차근 밟아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보고요. 한말씀 더 드리면 정의당이 어느 순간 저 개인적으로는 좌표가 사라진 것이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 박재홍> 좌표.

◆ 정호진> 다시 말해서 저는 진보집권에 대한 우리의 강력한 의지. 플랜이 정확히 있었냐에 대한 생각이거든요. 정의당 몇 명의 국회의원들을 만들기 위해 존재한 당이 아닙니다. 진보 집권을 위해 만든 정당이거든요. 진보 집권을 위해서 그러면 우리는 무엇을 할 것 인지 구체적인 플랜을 가지고 우리가 그거에 맞게끔 당의 전략과 계획들을 밟아나가고 앞서 말했던 저희가 존재하는 이유 땀 흘려 일하는 그 많은 시 민들을 어떻게 대변할 것인지를 중층적으로 보다 보면 지금의 이 상황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 진중권> 그게 바로 민주당 이중대가 됐다는 비판의 핵심입니다. 땀을 흘려서 일하는 사람들의.

◆ 정호진> 그게 민주당의 이중대입니까?

◆ 진중권> 그러니까 땀을 흘려서 일하는 사람들을 위 해서 일하는 게 아니라 조국 사태 때.

◇ 박재홍> 진 작가님 그만해 주세요.

◆ 정호진> 진중권 작가님께서는 모든 거를 다 조국 사태, 민주당 이중대로 몰아가는데요. 그거 자체가 스스로 정의당이 위기를 극복하는 부분에 발목을 잡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진중권> 아니, 이것은 정의당이 공식적으로 인정했던 것이기도 합니다. 조국 사태에 대한 공식적인 반성들도 있었고. 그런데 이제는 사회적 합의가 아니다라고 얘기를 하고 여러 가지 문제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 박재홍> 그만해 주세요. 알겠습니다. 마무리하겠는데요. 대변인님 마지막 한 질문만 더 드리겠습니다. 심상정 의원이 이제 조국 사태 때 오판했던 것에 대한 회한이 남는다. 또 이제 자신의 리더십은 소진됐다는 말씀도 했고 그런데 비례대표 총사퇴는 해법이 아니라고 말씀하세요. 이것은 한석호 위원장의 큰 틀에서 같은 맥락인 것 같은데 그러면 대변인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이러한 진단과 어떤 원인에 대한 분석도 다른 상황에서 지금도 합의가 정의당 내에서 앞으로 가야 할 방향 합의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을까요?

◆ 정호진> 지금 비례대표 사퇴 권고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갈리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지금 말씀드렸듯이 비례대표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 그렇게 지적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저는 그렇지 않다고 다시 한번 말씀드리고요. 당의 쇄신은 한 방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비례대표 사퇴 권고를 위한 당원 총투표를 위한 소명이 진행되고 있고요. 당원총투표가 발의가 된 상태가 아닙니다. 그러나 당원 총투표는 정의당 당헌당규에는 명시 적으로 있었지만 창당 이래 처음 있는 일인 것이고요. 그 내용이 어찌 됐든 간에 당원들의 총의를 묻는 과정 자체는 그 자체로 부정되거나 폄훼돼서는 안 된다고 보고요. 그 결과가 어떻든 어떤 결과가 나올지 저도 지금 모르는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과정을 정의당의 쇄신으로 고육책으로 지켜봐주셨으면 좋겠고요. 당원들의 총의를 모으는 과정. 그 결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 박재홍>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정호진> 고맙습니다.

◇ 박재홍> 정호진 정의당 전 수석대변인이었습니다.